2013년 7월 23일 화요일

홍문종 생각 - 나를 키운 8할은

나를 키운 8할은

 
돌아보면 나를 키운 8할은 정치였다.
그런 연유로 정치인으로 살아가는 지금의 내 모습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일찌감치 정치적 유전인자의 특성을 표출하며 살았다. 고비마다 정치적 연결고리가 아니면 설명이 어려운, 숙명적 상황이 적지 않았다.
심지어 결혼식 택일조차 정치적이었다. ‘우리나라 최초로 민주적 선거가 치러진 날(5.10 총선거)’이라는 게 당시 택일을 주관하셨던 장인어른이 밝힌 이유의 전부였으니 하는 말이다.
결혼을 앞두고 4.19 탑과 현충원 국립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3김(DJ,YS,JP)을 만나겠다는 계획아래 움직였던 일도 범상치 않은 남다름이다.
   
80년 3월 26일, DJ 강연을 듣기 위해 YWCA를 찾은 것도 그 과정의 일환이었다.
민족혼을 주제로 한 그날의 강연은 비정치성을 표방하면서도 가장 치열한 정치성을 담고 있었다. 특히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옳소! 연호’와 ‘박수 유도’ 등의 전략적 움직임으로 관중의 뜨거운 열기를 이끌어내는 ‘기술’은 내게 는 새롭게 열린 정치의 ‘신문화’였다.
언론의 창의적(?) 속성을 경험하며 그 쓴 맛을  익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DJ 강연 중 ‘예수님은 나의 형님’이라고 한 대목을 언론에서 ‘예수님은 나의 형님?’ ‘무슨 신이야?’ 라는 식의 제목으로 대서특필했다.  현장에서 듣기로 하나님이 자신의 인생을 주도하고 인도한다는 일종의 신앙고백이었는데 앞뒤를 자르고 단번에 교만한 인간성을 부각시키는 편집의 위력을 일찌감치 체험한 셈이다.

그 여파일까.
‘매일 하나님과 소통하고 있다’는 이 간단한 표현 앞에서조차 망설이고 있는 내 모습을 본다.
언론에 진의가 왜곡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지나친 조심성 때문이다. (하나님과 소통한다는 건 별다른 게 아니다. 곤궁한 상황에 놓여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방향을 잃었을 때, 답을 구하면 언제나 화답하며 든든한 백그라운드가 되어 주시는 은혜의 하나님을 말하고자 하는 의미다. 물론 부모님 역할도 못지않다. 정치 선배인 아버지는 어떤 선택을 하셨을까, 나를 제일 사랑하시는 어머니는 어떤 조언을 해주실까...를 생각하며 위기의 순간을 넘겨왔다.)
솔직히 현실정치를 하면서 국민보다 언론의 평가를 더 의식하게 되는 것 같다.
특히 당 중책을 맡고 있는 요즘 들어 그 증세가 더 심해진 느낌이다.

아닌 게 아니라 정치현안에 관한 몇몇 발언이 본의와 다르게 보도되는 바람에 논란의 중심에 선 경험이 없지 않다.  차마 내색하지 못한 속내를 꿰뚫거나 생각지도 못한 앞지른 표현 때문에 놀라기도 했다. 어렵게 내린 결단이 난도질당하는 정황을 속수무책 바라보기만 했던 쓴 기억도 있다. 모르긴 몰라도 언론 보도를 앞에 두고 내 발언이 이번에는 어떤 옷을 입고 나타날까를 걱정하는 건 나만의 사정이 아닐 것이다.
그런 맥락으로 보면 언론을 향해 ‘불가근불가원’을 외치는 항변도 다 일리가 있다는 생각이다.  가까이 하고 싶어도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존재에 대한 이 오묘하고 아이러니한 정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결단을 요구받고 또 그에 대한 책임과 후유증까지 책임져야 하는 정치인의 삶은 고독한 순례자의 그것과 닮은 점이 많다. 그 삶을 숙명으로 받아들인 지 오래지만 무엇인가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 과제는 나로 하여금 늘 서성거리게 한다. 정치적 지위로도 해결되지 않는 일종의 불치병이라는 걸 알고 있다. 순간적인 파플리즘을 부추기는 유혹이 없는 건 아니지만 고립무원의 외로움을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알고 있기에 더 심연으로 빠져들게 되는 건지 모른다.
하여, 조금 더 정직하고 성실한 정치에 방점을 찍고 오랫동안 꿈꿔왔던 정치적 완성을 위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상식이 이끄는 정치가 진정한 승리를 누리게 하기 위해 용기를 냈다.
이를 위해 언론과의 성숙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무엇보다 진정성을 담은 결단이라면 언제나 아낌없는 갈채로 격려하고 스포트라이트를 비출 줄 아는 언론환경을 갈구한다.
   
어느 덧 정치현안에 관한 워딩 다지는 일이 일과가 됐다.
이리저리 궁리하며 매만진 ‘워딩’이 개인적 정치 신념에 가까워질수록 마음이  편해지지만 언론에 비춰질 모습을 생각하면 여전히 걱정이다.
그렇다고 파플리즘적 유혹에 굴복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결국은 스스로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의 다짐으로 스스로를 돌아보자 주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013. 7. 23)

...홍문종 생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