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25일 화요일

홍문종 생각 - 함께 부르자


함께 부르자


'강남스타일'  신드롬의  주인공 가수 싸이가 미국 일정을 마치고 돌아왔다.
 기자회견장에서 “음악 다음으로 자신있는 것이 음주”라며 “한국의 주류문화를 세계에 알리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외국의 유명 스타들이 자신의 ‘말 춤’뿐 아니라 우리의 폭탄주 문화에도 흥미를 보여 자신감을 얻었다는  개그로  주위를 웃겼다.  술로 인해 심각한 고민에 빠져있는 최근의 분위기로 볼 때, 질타가 우려되는 수준이었지만  국위 선양한 싸이에게는  언론도 여론도 관대했다. 
그러나  술로 인한 우리  사회의 어두움은 여전히 건재한 모습이었다. 
상상을 초월하는  갖가지 유형의 음주 사고가  폭주하는 이 현실이 조금은  걱정스러웠다.   

술로 인한 폐단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곳곳에 그 선명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태조 이성계와 연관된 인물만 해도  2명이나  술 때문에 생사를   가른 기록이 있다.   
맏아들 이방우의 사인에 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다. 정사와 야사가  각각 다른 정황으로 기록돼 있기 때문이다.   정사는  날마다 끼니를 거르고 소주를 폭음하다 요절해버린, 실패한 알코홀릭으로서의 삶으로 이방우의 마지막을 기록했다.  반면 야사에서의 이방우는 똑같이 술에 찌든 삶이라도  고려왕조에 반기를 든 아버지 이성계를  수용하지 못하고  충절을 지키다 죽어간 인물로 그려졌다.  어느 것이   진짜 이방우의 삶인지는 그저 하늘만이 알고 있을 터다. .
태조와 함께 조선을 건국한 정도전의 사인도 애매하기는 마찬가지다. 세자 책봉 싸움에서의 패배로 삶을 마감했다고 알려졌는가 하면 사실은 술로 인한 설화가 화근이 됐다는 설도 있다. 정도전이 술만 마시면 "한고조 유방이 장자방을 쓴 게 아니라 장자방이 한고조를 쓴 것이다" 라고 떠든 게 명줄을 재촉하게 됐다는 것이다. 

  
술의 저주(?)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는 의여도 정가라고 예외가 아니다.
권력이 집중된 곳인 만큼 한 순간의 실수로 순식간에 모든 것을  잃을  확률도 그만큼  큰 셈이다. 추락하는 속도 역시 비할 바 없이 속전속결이라는 게  특징이라면 특징이겠다.
‘사람이 술을 먹는 단계까지는 무리가 없을 텐데 ‘술이 사람을 먹어버리는 지경에 이르면 그 때부터 사단이 나게 된다고 한다.  모든 가능성이 순식간에 뒤집히게 된다는데  술을 먹지 않는 나로서는 짐작만 할 뿐인 세상이다.
결국 과함이 문제라는 생각이다.
취중의 부주의한 말 한마디가 인생 전체의 명운을  잘라버리는 허망한 일이 어제도 오늘도 부지기수로 일어나고 있다.  술 때문에 사력을 다해 쌓아올린 공든 탑이 허망하게 무너지는 일은 매번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술을 먹지 않겠다’는 스스로와의 약속을 잘 지켜왔다고 생각한다.
정치인으로 살면서 술을 마시지 않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잘 했다, 스스로를 칭찬해주고 싶다. 
나름 술 안먹는 티를 내지 않기 위해 숙련된  노하우로   노력했다.(지금껏 내가 술을 안먹는다는 걸 모르는 분들이 많다) 술잔 대신 우롱차를 수없이 마셔대는 것은 기본이고 술 안 마실 핑계를 위해 당뇨다 내시경 검사다, 별의별  변명으로   둘러댔다.  본의 아닌 거짓말이 죄송하긴 하지만  순기능이 많았다는 걸로 자위하고 있다. (그러나 술자리 스킬만큼은  타의추종을 불허한다. 술자리 분위기 메이커, 뒷정리 도우미로  학창시절부터   인기투표 1위를 도맡아 하던  전력이 입증한다)
후회는  없다.  적당한 음주로 스스로를 조절할 수 있는 사람보다는 못하겠지만 지나친 음주로 자신은 물론 주변까지 곤란하게 하는 것 보다는 (술 안먹는 내 쪽이) 훨씬  낫다는 생각에서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정권 재창출! 이 대명제를 공동의 목표로 삼아 함꼐  나가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 
더 이상 술로 인한 불상사로 우리의 운명이 휘둘리는 일이 없도록 하자.

일단 무슨 일이 있어도 긴장을 늦추지 말자.
긴장하고 또 긴장하면서 최후의 승리가 확인되는 순간까지 우리의 모든 욕망을 유보하고 단 하나의 명제만 생각하자.
그렇게 우리가 가진 최선을 앞세워 전진하자.
그리고 승리하자.     
                                                                        
(2012.9.25.)
...홍문종 생각

댓글 없음:

댓글 쓰기